UPDATED. 2024-04-23 20:30 (화)
이공계 위기 논란 속 갈 데 없는 박사들 늘어
이공계 위기 논란 속 갈 데 없는 박사들 늘어
  • 김봉억 기자
  • 승인 2009.03.23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보고서 발표]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들여다봤더니

2005년 현재 우리나라 전체 박사학위자는 14만2천명. 이 가운데 이학·공학·의약학 등 전체 이공계 박사는 70% 가량인 9만8천여 명으로 추정된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해마다 7천여 명의 이공계 박사가 배출되고 있지만 산·학·연에서 근무하는 이공계 박사 수는 해마다 2천300여명씩 늘고 있어 수급 불일치가 심각하다. ‘이공계 위기’ 논란의 배경이다.
‘이공계 위기’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이유는 무엇일까.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최근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라는 보고서를 냈다.  박 위원은 또 “90년대 이후 이공계 박사의 증가에 비해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의 속도는 현저히 떨어져 신규 이공계 박사의 취업난은 점점 가중돼 체감 현실은 통계보다 훨씬 가혹하다”고 지적했다.

이공계 위기 논의 이후 정부 정책도 평가했다. “이공계 위기를 과학기술인력의 낮은 처우에 기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낮은 처우를 불러일으킨 근본적 원인에 대해서는 고려가 부족했다.” 이런 현상이 빚어진 이유는 주요 정책 대상이 대학교수와 연구원들로 설정돼 원인 진단과 정책 대상이 일치하지 않았다는 게 박 위원의 분석이다. 박 위원은 “이공계 위기는 기성 연구원이 아니라 기성 연구원 집단 진입을 포기하거나 진입에 실패한 잠재적 과학기술인력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하지만 이들에 대한 정책적 고려는 전무한 상태”라고 꼬집었다.


박 위원은 이공계 위기 대응을 위한 네 가지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 첫째가 대학특성화를 통한 이공계 교육 혁신이다. 연구중심대학은 충실한 기초교육을, 교육중심대학은 현장형 기술교육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는 것. 박 위원은 “배출인력의 진로와 사회적 수요에 대한 고려 없이 과학기술분야 대학원을 지금처럼 신설하거나 증원하면 이공계 위기·기피는 더욱 심화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박사과정 교육의 다양성 강화도 대안이다. 논문작성 위주로 학문후속세대양성만을 염두에 둔 현재의 박사 양성과정을 전면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프랑스가 과거에 국가박사와 대학박사, 기사학위 등 세 개의 박사학위 제도를 운영한 것처럼 박사학위 다원화를 주장했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