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17:47 (수)
[기후변화] 더 뜨거워진 지구를 위한 宣誓들
[기후변화] 더 뜨거워진 지구를 위한 宣誓들
  • 박상주 기자
  • 승인 2008.06.16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문간 대화로 읽는 키워드_ 1. 기후변화]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의 쟁점

지구온난화, 혹은 기후변화 논란은 20년 전 시작됐다. 1988년 미국 상원에 출두한 제임스 한센 NASA 연구원은 ‘지구온난화의 미래영향’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한센은 “21세기 지구온난화는 전례없는 대규모로 진행돼 에너지소비를 억제시키고 비화석 연료 사용을 병행해도 최대 2.5℃까지 기온이 상승, 지구가 중생대 온도에 가까워진다”고 발표했다. 한센은 이어 “남극의 얼음이 녹고, 그 결과 해수면이 상승해 전 세계 많은 도시가 수몰되고, 지구의 내륙지역은 사막화될 우려가 있다”는 충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남극 빙하는 3천만㎦이다. 이것이 모두 녹으면 지구 해수면은 70미터 정도 상승해 전 세계 거의 모든 대도시는 수몰된다. 이에 더해 빙하 해빙에 관한 서지(Surge)이론―어떤 물리현상은 특정한 임계값을 넘어 일단 발생하면 폭주를 시작, 도중에 정지시킬 수 없이 파괴적 상태로 진행된다―은 위기감을 증폭시킨다. 남극대륙 빙하가 녹기 시작하면 급작스럽게 전부 녹아버린다는 것이다.

2004년 7월 영국 BBC는 “그린란드 빙상이 녹는 속도가 과거에 비하여 10배 이상 빨라졌으며, 빙상 깊이는 매년 10미터씩 얕아지고 있다. 장소에 따라서는 1개월에 1미터씩 얼음표면이 얕아지고 있는 곳도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미국 해양대기청(NOAA)도 2005년, “그린란드 빙상이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속도로 녹고 있다”고 보도했다. 반면 유럽우주기관(ESA)는 “그린란드 빙상은 증감을 되풀이하고 있고 그린란드 중앙부 빙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북극 빙상을 두고 미디어가 가세한 과학논쟁이 시작된 것이다.

과학계의 논란은 더 격심해져 남극논쟁이 시작됐다. 이사벨라 베리코냐 콜로라도대 교수는 2006년 3월, 남극 빙하가 녹고 있다고 보고하면서 “동남극 빙상보다 훨씬 작은 서남극 빙상만 전부 녹아도 전 세계 해수면은 6미터 상승된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빈도샤드 NASA 연구원은 “남극 빙하가 지금 속도로 녹으면 4000년 후에는 서남극이 사라지고 세계 해수면은 엄청나게 상승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빈도샤드는 그러나 후에 자신 발표가 남극 중 한정된 영역에서 얻은 자료로 전 영역에 경향성을 적용한 잘못된 예측이라고 인정했다.

과학계가 결론을 내리지 못하자 공은 정치적인 문제로 이어졌다. 지구온난화 회의론자들은 ‘지구는 온난화하고 있지 않다, 온난화되고 있어도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온난화의 원인은 대부분 자연발생적이다, 지구 대기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구온난화는 전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유익한 영향이 더 많다’는 논리를 폈다. 회의론자들의 주장으로 다시 생각하게 된 부분은 기온 상승의 원인이 어디에서 시작되느냐는 것이다. 원래 자연스럽게 지구의 온도가 변하는 것이어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관점과,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상승한다는 관점이 대립하는 것. 논란의 핵심은 기온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관계, 그 선차성에 있다.

세계는 안전한 선택에 들어갔다. 온실기체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1988년 스위스의 주네브에 IPCC(국제기후변화협의회)를 설치하고 1992년 브라질의 리우에서 열린 지구 서미트 회의 아젠다21로 기후변화문제가 전지구적 의제로 채택됐다. 5년 뒤 교토의정서는 “선진국 온실기체 배출량을 2008~2012년까지 나라별로 1990년 대비 6~8% 삭감할 것을 목표”로 정했다. 그러나 교토의정서는 미국이 비준을 거부하고 중국, 인도 및 브라질의 의무감축을 면제하고 유럽이 자국의 이익에 따라 기준년도를 1990년으로 정했다는 것, 이산화탄소를 이미 만들어낸 선진국이 아니라 후진국이 주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됐다.

현재 세계는 포스트-교토 체제로의 이행을 준비 중에 있다. 최근 일각에서는 2050년까지 2000년 대비 온실기체 배출량을 50~70%삭감하는 것은 석유 가채매장량이 40년 정도에 불과해 자연적으로 달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박상주 기자 sjpark@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