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21:50 (수)
공정성 확보 위해 절차와 과정 투명하게
공정성 확보 위해 절차와 과정 투명하게
  • 남보우/ 단국대·경영학부
  • 승인 2008.04.07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시각_ 입학사정관제가 나아갈 길

대학입학사정관은 대입관련 자료를 심사해 입학여부를 결정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입학사정관제는 대학이 대입전형의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채용하고, 입학사정관이 학생의 성적, 환경, 잠재력 및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말한다.

최근까지 정부는 대입전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방향을 견지했고, 대학은 객관적 자료인 수학능력시험 성적이나 학생부 교과 성적을 주로 활용해 학생을 선발해 왔다. 이제 대학은 다양한 재능과 적성을 갖춘 학생을 선발해 전문성을 키워주고, 차별화된 삶을 살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더 이상 대입전형의 객관성만을 강조할 수 없으며, 선진화된 대학입학제도의 도입이 필요하게 됐다.

대입전형에서 점수도 높고 창의력과 발전가능성이 있는 학생을 우수학생이라고 본다면 학생선발의 기준과 방식은 상당히 변화할 것이다. 즉, 대학은 우수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수능성적, 학업계획서, 학교생활기록, 고등학교 교육과정 등 지원자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것이며, 고등학교는 학생을 대학에 진학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정상화의 방향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1920년대부터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대부분의 대학들이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미국의 대학들은 입학전형을 위해 지원서, 고등학교 성적, 대입관련 성적(SAT, ACT), 추천서, 자기소개서·에세이, 특별활동을 나타낸 이력서, 면접결과, 출신 고등학교 정보 등을 수집한다. 입학사정관은 수집된 자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검토하고 입학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버클리대의 경우 90명의 입학사정관이 신입생 선발을 맡는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2007년 10개 대학을 입학사정관제 시범대학으로 선정했으며, 2008년에는 30여개 대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되는 입학사정관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몇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세부기준을 정하지 말고 포괄적 평가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세부기준이 제시되면 학생과 학부모, 학교와 사설교육기관은 기준만을 맞추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하게 돼 교육의 정상화를 저해할 수 있다. 입학사정관은 입학전형의 각종 자료를 활용해 전문적, 주관적, 포괄적 평가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신뢰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입시부정이 발생하면 사회는 대학을 불신하게 되고 입학사정관제는 정착하기 어렵다. 공정성이 확보되도록 대학은 입학전형에서 절차와 과정을 투명하게 하고, 견제장치를 마련하는 등 공정성담보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사람의 입학사정관이 합격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우리 사회에서 입시부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매우 높게 한다. 다수의 입학사정관에 의해 독립적으로 평가되고 다단계의 사정과정에 의해 합격여부가 결정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입시부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불공정행위가 발생했을 경우 당사자 및 대학이 법적 또는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하며, 제도가 책임을 지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범법자가 있다고 해서 제도가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사회적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대학의 다양한 공동노력도 필요하다.

셋째,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및 추천서 등이 공정하고 충실하게 기록돼 대학이 우수학생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돼야 할 것이다. 대학은 고등학교의 기록을 믿어야 하고, 고등학교는 공정하고 충실하게 기록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변해야 할 것이다. 

불공정행위에 대한 우려, 평가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입학 준비를 할 수 없다는 비난, 또 하나의 입학제도 도입에 대한 혼란 등이 어느 정도 나타나더라도 입학전형을 선진화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제는 도입되고 발전돼야 할 것이다. 언제까지나 시험성적에만 의존하는 선발방식을 지속해 부적합한 학생선발과 입시지옥 및 교육파행을 바라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해 대학 및 고등학교의 노력, 학생 및 학부모 등 사회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남보우/ 단국대·경영학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