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7 06:20 (수)
“학문후속세대양성에 초점 사회적 공감대 마련돼"
“학문후속세대양성에 초점 사회적 공감대 마련돼"
  • 강연희 기자
  • 승인 2001.11.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대현 기초학문육성위원회 위원장(이화여대·철학)
△왜 지금 ‘기초학문육성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인가.
“한국 사회가 선진국 문화를 복사하고 모방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세계문화에 기여하고 세계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초학문에 기반한 문화를 만들어야한다. 이번 기초학문육성을 위한 정책심포지엄은 건국 이후 최초의 정책심포지엄이며 앞으로 어떻게 기초학문을 육성할 것인가를 토론한 자리다. 방향은 기초학문육성을 위한 차세대연구인력양성에 있다.”

△기초학문육성 정책을 국가과제로 심화하겠다는 뜻인가.
“이번 심포지엄 결과를 보고서로 제출하고 나서 관계당국이 의뢰하면 논의할 수 있다.”

△이번 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서울(수도권)교수들이 집중적으로 참여했을뿐 지역 목소리를 담는데 인색했다고 하는데.
“기초학문육성위원회를 구성할 때 지역분배는 골고루 이뤄졌다. 전체위원회는 전국적으로 구성됐다. 두 분과연구 위원회는 지적대로 수도권 중심이다. 이것은 계획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일 능률과 팀웍에 의한 구성에 따른 결과다.”

△종합토론에서 “인문학 소양을 갖춘 중등 교사문제와 교수의 많은 잡무로 연구시간 확보가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기초학문의 전문적 소양을 갖춘 전문가가 한 분야당 한 명씩 있어야 한다는 전망을 가지고 중등 교수제도를 제안했다. 그러나 이 사안은 조심스럽고 예민한 일이다. 현 중등 교사들의 관점과 의견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또 연구비가 도서구입에만 사용되서는 안되고 교수의 시간을 구입하는데 사용돼야 한다. 교수의 시간은 다른 항목보다도 많은 비중을 차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한 강좌를 다른 전문가가 맡아 연구시간을 확보하도록 하겠다.”

△첫 심포지엄의 성과와 한계를 자체 평가한다면.
“기초학문육성을 위해 한국사회가 제도적으로 유연하게 대처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러나 기초학문전공자에게 병역혜택을 주거나 중고 박사교수제 등 단순한 법령개정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존중해야 하는 각 단체들의 의견을 어떻게 수렴하고 타협할 것인지 고민하고 대화해야한다. 여러 계층의 공감대 확산과 공감대에 기초한 법개정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사안이 많다.”

△앞으로의 일정은.
“심포지엄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보고서를 작성할 것이다. 이번 기초학문육성위원회는 자문위원회이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솔선해서 정책을 제안할 수 없다. 제시된 사안에 대해서만 자문할 수 있다.” 강연희 기자 allesk@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