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7:50 (목)
기획연재 : 대학별 연봉제2 - 계명대
기획연재 : 대학별 연봉제2 - 계명대
  • 안길찬 기자
  • 승인 2001.11.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1-11-26 17:23:51
● 산정방식 : 봉급+수당 (호봉급-일괄 적용, 수당-차등 적용)
● 평가등급 : S, A1, A2, A3, B급 등 5단계
● 연봉격차 : S급과 B급 상여수당 400%까지 차등화
● 평가방식 : 최근 3년간의 업적으로 직위별·학문분야별 평가

지난 1998년부터 교수 연봉제를 시행하고 있는 계명대는 철저하게 시스템화된 정량 업적평가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각 교수가 직접 자신의 교육·연구·봉사업적을 업적평가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심사와 이의신청을 거쳐 실적총점을 받는 순서로 업적평가가 진행된다.

쉽게 보자면 계명대의 업적평가 방식은 벼를 쌀로 바꾸는 ‘도정과정’과 같다. ‘업적’이란 교수의 한해 수확물을 ‘평가’란 도정기계에 넣고 기다리면, 적당치 않은 쭉정이는 걸러지고 ‘결과물’로서 쌀이 개별 교수들에게 전달되는 식이다. 이 때 주어지는 쌀의 양이 곧 개별 교수의 업적총점이 되고, 이 점수의 차이에 따라 교수들의 연봉도 차별화 된다.

계명대의 교수 연봉제는 시스템화된 업적방식에 바탕을 두고서, 최근 3년간의 업적평가를 통해 매해 연봉을 결정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그 방식은 완전한 연봉제가 아닌 성과급 연봉제에 가깝다. 호봉급은 그대로 두고 상여수당만 차이를 두기 때문이다. 전임강사에서 정교수에 이르기까지 10여단계의 호봉 기본급을 모든 교수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면서, 상여금만을 업적에 따라 차등지급하고 있는 것.

상여수당 최대 4백% 격차

매년 2월이면 계명대 교수들은 대학으로부터 평가등급을 통보 받는다. 최근 3년간의 업적을 평가한 종합점수에 따라 S, A1, A2, A3, B급 등 5단계 등급 가운데 하나가 교수들에게 주어진다. 이 등급에 따라 개별 교수의 해당연도 상여수당 지급비율이 정해진다. S급은 5백%+α+1백%의 상여수당을, A1급(5백%+α), A2급(5백%), A3급(5백%-α), B급 (5백%-α-1백%)를 받는다. α는 대학이 매년 정하는 봉급인상율을 근거로 산출한 계수로서, 1백%를 초과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α로 인해 상여수당의 지급비율은 매년 달라진다. α가 1백%가 될 경우 최우수 그룹인 S급의 상여금은 7백%가 되는 것이고 최하위 그룹인 B급의 상여금은 3백%로 정해지는 것이다. 결국 교수가 어떤 등급을 받느냐에 따라 최고 4백%까지 상여금 비율이 격차를 보이게 되는 셈이다. 통상 직급이 낮은 전임강사는 5백~6백만원, 직급이 높은 정교수는 1천만원 이상 연봉격차를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S등급을 받은 정교수라면 호봉급과 그에 따른 700%의 상여수당이 자신의 연봉이 되는 것이고, 같은 정교수이지만 B등급을 받았다면 호봉급은 같게 받지만 상여금은 300%밖에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대학은 체결된 연봉을 매월 균등하게 분할 교수들에게 지급한다. 대학과 연봉계약이 이뤄지면 해당 교수는 계약기간중에는 개인적 사정이 있다 하더라도 학기 중에 사직할 수 없다는 점 또한 계명대 연봉제의 특징이다.

업적종합점수에 따라 S급과 A1급에 대체로 30%의 교수가 분포하고, A2급에 40%, A3급과 B급을 합쳐 30%가 각각 배정된다. 최우수 그룹인 S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종합점수가 상위 10%이내에 들어야 한다. 그 외에 해당 평가년도 누적인정연구업적이 2백점 이상이거나, 국제전문학술지에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거나, 3인 이내의 전문학술저서를 한편이상 발간한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S등급으로 인정하고 있다.

기태희 교원인사팀장은 “교수의 직무 특성상 일반기업과 같은 무차별적인 연봉제를 대학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며 “호봉급을 두고 상여수당만을 보수 차등화 수단으로 삼고 있는 데는 위계질서를 유지하면서 교수의 교육·연구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학문분야별 특성에 따라 업적평가항목을 달리 적용하고 있으며, 연령상승에 따른 교수들의 교육·연구능력의 차이를 감안하기 위해 직위별로 평가방식의 차이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교수들 반응, “중간만 하자”

전체적으로 볼 때 계명대 연봉제의 특징은 철저히 업적평가를 근거로 하고 있으며, 이 업적평가는 또한 철저히 정량화돼있다는 점에 있다. 때문에 대학측의 긍정적 설명에도 불구하고, 현장 교수들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인문계열에 재직중인 이 아무개 교수는 “과연 대학측의 설명대로 교수들의 교육·연구능력을 끌어올리고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려는 목적인지, 아니면 단순히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한 비용절감책인지 알 수 없다”며 연봉제의 목적이 불분명함을 지적했다. 이 교수가 이렇게 반응하는 데는 갈수록 연봉제와 담을 쌓는 교수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교수들도 잔뜩 긴장을 했지만, 자포자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열심히 해서 S등급을 받기보다는 적당히 해서 중간등급을 받으려는 교수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잘해도 욕먹고, 못하면 자존심 상하기 때문에 중간만 하자는 교수들이 늘고 있다는 얘기이다.

평가방식에도 문제는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 대학 윤 아무개 교수는 “총장의 경고서 한 장으로 감점을 당하고, 전국규모 학회장보다 학내보직을 맡는 경우에 더 높은 봉사점수가 주어지는 비합리적인 평가방식에서는 교수를 통제하는 수단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정 아무개 교수 역시 “평가기준이 고정화돼 있어 그에 따라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정말 하고 싶은 독창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다”고 밝혔다. 결국 얼마만큼 교수들이 납득할 만한 업적평가 규정을 만드는가가 연봉제의 기본조건인 셈이다.

안길찬 기자 chan1218@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