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07:35 (금)
74.8%가 대학에, 이유는?
74.8%가 대학에, 이유는?
  • 박상주 기자
  • 승인 2007.10.22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공계 연구자들의 취업실태 들여다보니

S사, L사 등 유수 대기업 연구원들이 대학으로 몰려드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 교수신문이 실시한 올해 하반기 신임교수 임용조사 결과, 학문분야를 막론하고 공공연구소나 기업연구소를 떠나 대학으로 이직한 교수는 모두 102명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을 가장 많이 임용한 대학은 대구대로 8명이며, 세종대는 6명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부가 한국과학기술평가원에 의뢰,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실시한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대한 실태조사’(2007)를 살펴보면 이런 모양새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다.
이공계 연구자들의 취업실태를 조사한 결과, 공공연구소나 기업을 떠나 대학으로 이직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옮기는 이유는 ‘대학이 더 안정적’이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는 전국의 5인 이상 이공계 관련 산업에 속한 사업체와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 1천661개소에 소속된 2천37만9천397명의 이공계 인력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다. 이들 이공계 인력의 대부분인 74.8%는 대학에 있고 공공연구기관은 294명(13.7%), 기업은 248명(11.5%)으로 나눠졌다.
이들의 직장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이 7.6점(10점 만점 기준)으로 높았고 공공연구소가 6.7점으로 낮았다. 이공계 인력 중 1회 이상 이직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48.4%. 이직은 주로 공공연구소에서 기업으로, 기업에서 대학으로 이어졌다.
조사팀은 전공별 경력경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전공에서 “대학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첫 직장을 대학에서 시작하는 비율은 67.9%였으며, 공공연구소 19.6%, 기업 12.5%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비율은 추적조사결과, 첫 직장을 이직해 대학으로 이동하는 추세가 늘면서 대학 85.6%, 공공연구소 10.8%, 기업 3.6%로 변동됐다.

조사팀은 대학으로의 연구자들의 유입이 “금전적인 보상보다는 직업의 불안정과 불투명한 전망때문”이라며 대학이 다른 연구기관에 비해 ‘안정적’이라고 분석했다.
남성(65.4%)보다는 여성(72.9%), 정규직(64.7%)보다는 비정규직(69.0%), 공학(60.6%) 및 농림수산학(58.7%)보다는 이학(73.2%) 및 의·약학(86.4%)에서 대학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졌다.
국외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인력의 80%이상이 대학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2000년 이후에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개인별 설문조사 결과, 이공계 연구자들은 직업 선택에서 ‘금전적인 보상보다는 비금전적인 요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이직의 이유로 ‘직업의 불안정’(32.6%)과 ‘불투명한 전망’(22.9%)을 답했고 ‘임금 및 보수 불만’은 5.8%에 불과했다.
기업으로부터 이직하는 경우는 ‘불투명한 전망’(23.2%), ‘전공 및 적성 불일치’(21.5%), ‘직업의 불안정’(19.7%) 비율이 높았다. 공공연구소는 ‘직업의 불안정’(37.4%), ‘불투명한 전망’(23.5%), ‘전공 및 적성불일치’(23.5%)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은 ‘직업의 불안정’(45.5%), ‘불투명한 전망’(22.2%)의 비율이 높았다.
과학기술평가원은 “공공연구소와 대학의 이직원인 중 ‘직업의 불안정’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비정규직에 따른 고용 불안이 원인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조사대상자 전체의 30.8%가 첫 직장에서 비정규직으로 일을 시작했다. 공공연구소는 40.9%가 대학은 31.8%가 비정규직으로 일을 시작하고 있었다.
이공계 인력 중 비정규직에 종사하는 인력은 7만7천458명(3.3%)에 달하고 대학의 비정규직 비율은 25.8%에 달했다. 특히 여성의 비정규직 비율은 대학에서 절반에 가까운 47.3%에 달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공계 종사자의 평균 연봉은 4천38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 중 대학이 5천609만원으로 기업 (3천959만원, 대기업 4천359만원·중소기업 2천974만원)과 공공연구기관(4천373만원)보다 많았다. 학위별로는 박사는 5천952만원, 석사 5천723만원, 학사 4천156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주 기자 sjpark@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