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00:35 (수)
‘배운 것 없다’ 소송도 … 정성평가 도입돼야
‘배운 것 없다’ 소송도 … 정성평가 도입돼야
  • 박상주 기자
  • 승인 2007.05.21 1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교육학회 ‘공학교육의 세계화’ 심포지엄

공학교육의 세계화를 겨냥한 교육인증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 제기됐다. 한국의 교육인증제가 정량적인 평가에만 치우쳐 국제적 보편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한국공학교육학회는 지난 16일 서울 고려대 하나스퀘어에서 “공학교육의 세계화”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가졌다.
‘공학인증평가의 특징’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윤우영 고려대 교수(재료공학부, 한국공학교육인증원)는 공학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가 무엇을 교육하였는가에서 학생이 무엇을 할 줄 아나 △공급자 중심 교육에서 기업 및 학생의 수요자 중심 △연속적인 질 향상 △성과중심 교육으로 바뀌어 간다고 전망했다.
윤 교수는 “교수가 결강을 했나 정도를 가지고 어떻게 강의평가라고 할 수 있느냐”며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냉엄한 평가를 거쳐야만 질 높은 교육과정이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 윤 교수는 대학들의 교육과정 평가의 문제점으로 △평가대상 불명확 △교육목표 불명확 △국제기준과 다른 평가방법 등을 지적했다.
골프를 예로 든 윤 교수는 “좋은 옷, 좋은 신, 좋은 공, 좋은 골프채를 보유했다고 해서 좋은 골퍼라고 하지 않는다”면서 “골퍼의 스코어가 좋은 골퍼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현재 대학평가는 “교수진이 어떤 대학 박사이며, 어떤 시설 등을 갖추고 있는지 등의 정량적인 평가만 해오고 있다”면서 “일부 신문이 하는 평가는 양질의 인재를 만드는 교육과정 평가라고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교육과정을 거친 학생들이 얼마나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정성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학교육인증에 앞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간호평가원은 교육인증을 6개 기준, 62개 세부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정량적 기준은 41개다. 반면 미국의 NLNAC(National League for Nursing Accrediting Commission)의 경우 7개 기준, 23개 세부기준 중 정량적 기준은 없다. 윤 교수는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는 논문 내용 심사처럼 학생에 대한 Peer review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목표에 대해 윤 교수는 ‘공과대 졸업생이 일정한 수준 이상의 실무능력을 갖춰 기업에서 일을 할 수 있느냐’는 것과 ‘졸업생 개인의 관점에서 변화하는 세계에 맞춰 자신의 지위를 향상할 수 있느냐’는 것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한 기업의 예를 들며 “공대를 졸업한 사원 한 명을 재교육시키는데 6천5백만 원이 드는 지경”이라고 전했다. 기업이 원하는 교육을 받고 오도록 대학의 교육과정에도 수요자 기업의 목표가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윤 교수는 미국 대학의 한 교수를 예로 들어 “어떤 학생이 업무부족으로 회사에서 쫓겨나자 대학에 소송을 걸었다. 도무지 학교에서 배운 것이 없다는 게 이유였다”고 전하면서 “이제 대학이 자격 없는 졸업생을 내보내면 소송에 걸리는 시대”라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FTA 이후 한국 인력을 국제적으로 교류하기 위해서는 보편타당한 능력인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대학에 대한 시각과 한국의 시각이 다르다는 비판이다.
윤 교수는 “외국에서 기업은 MIT 학사와 UC버클리 박사 중에 사람을 고르라고 하면 분명 박사를 고르지만 한국에서는 명문대 학사를 고른다”고 말했다. “입학성적에 대한 고정관념, 즉 명문대 입학생이 뛰어날 것이라는 편견이 문제”라는 것이다. 윤 교수는 장차 한국의 대학도 “졸업성적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인재에도 KS 마크 같은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KS마크가 국제적인 인정을 받으려면 꾸준히 수준을 향상시키는 질 관리를 궁극적인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주 기자 sjpark@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