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9:10 (금)
부유한 국가들의 불행한 청소년에 대한 역설 고소득국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중소득국가 비해 좋지 않다고 밝혀져
부유한 국가들의 불행한 청소년에 대한 역설 고소득국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중소득국가 비해 좋지 않다고 밝혀져
  • 하영
  • 승인 2023.03.14 0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려대 외국인교원 2인 공동연구 결과 발표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국제학부 Robert Rudolf 교수와 경제학과 Dirk Bethmann 교수 연구팀은 경제가 발전할수록 학습강도와 교육관련 스트레스가 증가하기에 부유한 국가의 청소년일수록 주관적 웰빙(subjective well-being; 개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본인의 삶의 만족도, 행복감 등)이 낮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중·고소득 국가 72개국의 15살 청소년 50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최근 스프링거스 행복연구저널(Springe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에 발표된 이 논문은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과 긍정적인 감정, 부정적인 감정, 인식된 삶의 의미 등 이와 관련 개념들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국가소득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더 빈번하게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삶의 의미를 상실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의 데이터는 2018년도에 시행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PISA)의 일환으로 수집된 학생 설문 조사에서 추출했다. 연구는 1인당 국내총생산량(GDP)이 늘어날수록 그 국가의 청소년 삶의 만족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밝혀냈다(그림 1). 이는 1인당 국내총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성인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그림 2).  

그림1

 

그림2

이러한 역설적 관계는 교육 체제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학습 강도가 이 역설을 설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지식 기반 경제에서는 삶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많은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를 요구하기 때문에, 고소득국가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일수록 높은 학습강도와 학업관련 스트레스를 받다. 이것은 낮은 웰빙을 유발하다. 반면에 중소득국가에서는 교육 수요가 낮아 청소년들은 가장 높은 수준의 행복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그들의 연구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저소득 국가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저자들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인간 존재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즉, 음식, 쉼터, 깨끗한 물과 위생, 갈등의 부재)가 부족할 때,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는 학교에서 학생들 사이 경쟁이 심할수록 청소년의 행복감이 감소하는 반면, 학생들 간 사이가 협력적일수록 청소년들의 행복감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부유한 나라의 청소년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남자 아이들보다 여자 아이들에게서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에 따르면 “우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체로 여학생들이 높은 학습 강도와 학교 내의 높은 경쟁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여학생들은 그것으로 인해 남학생들보다 더 고통 받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다.

연구진은 한국과 일본의 경우, 국가 소득 수준에 비해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만족도가 예상보다 상당히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저자들은 “한국과 일본 모두 주관적 웰빙에서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정부는 남용과 과도한 관행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에서는 15세 학생의 23%가 주당 60시간 이상 공부하고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이다. 이는 미국 수면 재단 (National Sleep Foundation)이 권장하는 시간보다 2시간 적은 시간에 불과하다. “청소년기의 수면 부족과 여가시간 부족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는 아이들이 공부하는 것을 근로자의 노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뤄야한다. 즉 정부는 과잉노동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는 것처럼, 아동 권리 착취 및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학습 시간 제한을 시행해야 한다.”고 저자들은 입을 모았다.

결론적으로 기본적인 기회비용 접근법을 사용하는 모든 교육의 경제적 분석에 정신적 비용을 통합할 것을 긴급히 제안한다. 학업적 성취뿐만 아니라 협동적 학습환경의 육성 그리고 학생의 행복감 또한 교육의 주요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