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화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SKKUP) | 464쪽
![]() “청대 중국의 경제는 무엇보다 화폐현상이 지닌 다양한 측면을 사회구조 속에서 함께 고찰한다는 문제의식이 돋보인다. 화폐·시장·도량형 등의 차원에서 국가 개입보다 민간 자율을 중시했던 청조(淸朝)의 현실적 경제정책이 초래한, 다양한 경제현상들의 실정을 확인해볼 수 있다. 나아가 청대 중국의 경제성장을 같은 시기 유럽이나 에도시대 일본의 상황과 비교사적 관점에서 재고찰함으로써 일국사적 시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청대 중국사회를 훨씬 더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연구서다. 물가·환율·금리 등 경기변동의 지표가 인간의 삶 한가운데로 들어온 이때, 역사 재고의 흥미로운 시야를 제공하는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학술기획총서 ‘知의회랑’의 서른두 번째 책이다. 최승우 기자 kantmania@kyosu.net |
저작권자 © 교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